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상식180

반응형
산모의 건강과 동의보감의 육아십법 천지의 정기로 만물이 생성되듯이 인산의 혼백도 아버지의 정기와 어머니의 정기를 받아 이루어진다. 부모의 정기를 받아 어머니의 몸에 자리를 잡는 태아는 첫 번째 달에 아주 희미하게 응결되었다가, 두 번째 달에 눈에 보일 듯 말 듯한 형태가 이루어지고, 세 번째 달에 사람의 형상이 잡힌다. 그러다 여섯 달이 지나면 머리카락이 생기고, 일곱 째 달에는 혼의 작용으로 오른손을 움직이며, 여덟 째 달에는 백의 작용으로 왼손을 움직인다. 그리고 열 달이 흐른 뒤에는 분만되어 세상에 태어나는 것이다. 그런데 태아가 분만될 때까지 걸리는 기간은 조금씩 차이가 나고 이에 따라 수명도 제각각 달라진다. 잉태된 지 306~296일 만에 출생하는 것을 상기라 하고, 286~296일 만에 출생하는 것을 중기라 하며, 256~2..
통증이 심한 유선염에 좋은 처방 통증이 심한 유선염에 좋은 처방 산욕(태아, 태반 및 그 부속물을 만출 한 후에 생식기관이 비 임신 상태로 회복되는데 필요한 일정한 기간) 제2~4주 즈음에 유선의 실질에 생기는 염증을 유선염이라 한다. 유선염은 유산부에게 많이 나타나는 증세로 불결한 손이나 옷이 상처 난 유두에 닿아 화농균이 침범하거나, 유즙 울체증으로 세균이 감염되는 경우가 많고, 분노 등 감정의 과잉이나, 기름진 음식을 너무 많이 먹었을 경우에도 발병할 수 있다. 오한이 심하고 39~40도에 이르는 높은 열이 나면서 유방이 짓무르고 피부가 벌겋게 부어오르는데, 격렬한 압통이나 자발통이 따른다. 유선염을 일으킨 쪽의 겨드랑이와 임파선에 종창이 생겨 팔을 움직이기 어려워지기도 한다. 치료를 미루어 증세가 심해지면 곪으면서 고름이 괴다가..
골절 및 골다공증 예방에 좋은 운동과 음식 폐경 이후 급증하는 골다공증, 동맥경화증 뼈에 구멍이 생기면서 물렁해지고 약해지는 골다공증은 폐경 이후 10년 사이에 급증한다. 그 이유는 여성 호르몬은 뼈를 만드는 작용과 뼈의 파괴를 방지하는 작용을 하면서, 뼈를 녹이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작용을 막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여성 호르몬의 분비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골다공증으로 뼈가 녹으면 단백질이 먼저 녹고, 다음에 칼슘이 녹아 나오는데, 혈관에 쌓이면 동맥경화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폐경기가 아니더라도 평소 다이어트를 지나치게 하는 여성이나 무월경, 월경불순증이 있는 여성도 골다공증에 걸리기 쉬우며, 몸집이 작거나 뼈대가 선천적으로 작은 여성, 난소절제 수술을 받았거나 평소 칼슘 섭취가 지나치게 적었던 여성들도 골다공증에 걸리기 쉽다. 골다공증으로 생기..
모유 수유 통증을 줄이는 마사지 방법 젖은 태어난 지 여섯 달이 안 된 신생아들의 영양 물질로 가장 완벽할 뿐 아니라 면역작용도 대단하여 모유를 먹고 자란 어린이들은 호흡기나 소화기 계통의 질환, 또는 알레르기성 질환에 걸릴 확률이 낮다. 모유를 먹지 않은 어린이들은 남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성격이 된다는 발표도 있다. 젖을 충분히 먹으면서 자란 어린이는 온순하고 너그러우며 낙천적인 태도와 기질을 가지지만, 모유를 충분히 먹지 못한 어린이는 의심을 하며, 겁이 많고 적의를 가지고 있다. 임신 중에는 태반에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왕성하게 분비되어 유선 조직이 발육하고 유방이 커진다. 출산으로 이들 호르몬이 덜 분비되면 놔하수체전엽에서 프로락틴이 대량 분비되어 젖 분비를 촉진하기 시작한다. 아울러 뇌하수체후엽에서 옥시토신이라는 호르몬이..
신생아나 유아를 위한 이상적인 음식, 모유 수유 신생아나 유아를 위한 이상적인 음식, 모유 수유 모유는 신생아나 유아를 위한 이상적인 음식물일 뿐 아니라, 수유를 통해 모체가 빨리 회복되도록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그러니 아기를 낳은 뒤에는 어쩔 수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반드시 수유를 하는 것이 좋다. 분만을 하고 난 뒤 잠깐 동안은 대개 젖이 부족하여 애를 태우게 마련이지만, 계속 젖을 먹이다 보면 젖이 점점 늘어나니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그렇지만 만약 산후 사흘이 지나도록 젖이 많이 늘지 않거나, 지나치게 적을 경우에는 유방 마사지를 하거나 최유제(젖이 잘 나오게 하는 약)를 사용해 보는 것도 좋다. 젖꼭지가 너무 작거나 안으로 깊이 들어가서 아기가 빨기에 어려울 때는 깨끗한 손으로 잡아내어 빨기 쉽도록 도와 주어야 한다. 초산부라면 분만을 ..
VDT증후군, 안구 운동으로 안구 건조증과 노안 완화 컴퓨터 단말기 증후군, 일명 VDT 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은 모니터를 보면서 장시간 작업을 하다가 생기는 안구·근골격계·피부·정신신경계 증상을 일컫는다. 그중 눈이 쉽게 충혈되거나 사물이 겹쳐보이고, 흐리게 보이는 안구 증상에 대해 알아보고 안구건조증과 노안 증상을 완화하는 안구 운동에 대해 알아보자. 장시간 모니터를 쳐다보다보면 눈이 쉽게 피로해지는데, 하루 5시간 이상 작업을 하는 사람들 중 30%는 안구건조 등의 증상을 앓고 있다고 한다. 컴퓨터 단말기 증후군은 모니터를 보면서 집중을 하니 눈을 덜 깜빡이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눈의 깜빡임은 1분에 15회에서 25회 정도 깜빡여야 정상이라고 한다. 지금 모니터를 보면서 본인의 눈이 3초 마다 깜빡이는지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