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와 변비에 좋은 결명자차
눈을 밝게 한다는 결명자차 한방에서 사용되는 약재의 이름이 생긴 유래를 따져보면 재미있는 것이 많다. 약의 맛을 따져서 붙인 이름은 감초, 고삼, 세신 등이 있고 계절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은 반하, 인동등, 사람의 이름을 딴 것으로 서장경, 포공영, 동물과의 관계로부터 생긴 이름은 음양곽, 낭독, 형상에 따라 붙인 것은 오두, 마편, 호장, 지명에 유래하는 것으로는 촉규, 고량, 약재의 빛깔로 이름 지은 것은 청호, 마황, 시적인 표현을 한 것으로는 백두옹, 왕불유행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약재가 나타내는 약효를 이름으로 표시한 것이 있음은 그 유래가 가장 적절 간명하여 인상적이다. 예컨대 부인병에 좋다는 익모초, 신경을 튼튼히 하여 잔걱정이 없어지고 뜻이 원대해진다는 원지 등이 그 좋은 예이다. 결명..
인삼의 일곱 가지 좋은 점
인삼의 칠효설 한방에서 소갈이라고 하는 것 중에는 오늘날의 당뇨병 아닌 것도 포함되어 있으나, 당뇨병 증상에 대한 처방을 종합해 보면 당뇨병 통치약으로서 다음과 같은 생약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와있다. 인삼, 생지황, 천문동, 생백피, 대황, 감초, 백작약, 천궁, 당귀, 황기, 맥문동, 오미자, 천화분, 황연, 우유 등을 각각 증상의 경중에 따라 서로 배합하여 처방하는 것이다. 인삼의 당뇨병에 대한 약리작용은 현대 약리학에서도 오래전부터 연구되기 시작하여 여러 가지의 인공적 과혈당증에 대해서 과혈당이 억제된다는 것이 보고되고, 인슐린과 비슷하며 오히려 부작용이 없다고 하였다. 한때 비과학적이라고 하여 한방의학을 배척하던 중국은 한방의 연구와 보급에 열심이며, 인삼에 대한 약리작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